목록과학 & IT 시사 & 기타 (40)
개발이야기
′검색 제왕′ 구글, 스마트폰·스피커 왜 자꾸 만드나 기사 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4&aid=0003967437 구글이 소프트웨어 분야를 넘어 하드웨어 분야까지 넘보고 있다고 한다. 스마트폰과 스마트 스피커 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는 향후 집 안팎을 제어하는 허브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정말 시장의 변화를 발빠르게 파악하며 무섭게 성장을 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진다. 추후 스마트폰이 자동차를 제어하는 키 역할을 할 것이라 예상하고 '픽셀' 등의 스마트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이야 픽셀의 판매량은 극히 부진하지만, 구글의 소프트웨어에 최적화된, 구글에 의해 만들어진..
‘웨이모’ 세계 첫 차량호출 서비스… 100대 운전자없이 공공도로 운행 기사 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1&aid=0002332807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의 자율주행 차량 사업부 웨이모가 운전석에 사람이 앉지 않는 완전 자율주행차량을 처음으로 공공도로에 선보였다고 한다. 현재 시험 운행되고 있는 자율주행 차량에는 비상 정지를 위해 직원이 동승을 하지만, 연말쯤에는 직원을 태우지 않은채 운행한다고 한다. 정말 빠른 속도로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정말 머지않은 시기에 택시 기사와 버스기사가 사라질지도 모른다.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세상은 정말 편리해지지만, 그만..
AI게임으로 치매 치료… 100세 시대 준비하는 벤처 기사 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5&aid=0003893344 고령화 시대에 맞춰, 실버 세대들을 위한 상품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고 한다. 그중에 눈의 띄는 것이 지팡이에 IOT를 결합한 스마트 지팡이이다. 정말 괜찮은 아이디어라는 생각이 든다. 지팡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지방, 기초대사량 등 기본적인 건강 상태 체크는 물론이며 지팡이를 놓고 쓰러지는 돌발상황까지 인식한다고 하니 추후 부모님 선물로 꼭 해드려야겠다. 요즘은 지팡이가 아닌 유모차가 또 대세이기 때문에 스마트 유모차가 나올지도 모르겠다. 뿐만 아니라 50~60대 이상의 은퇴자들을 위한 S..
웨어러블 제품과 스마트폰 시장은 반대로 움직인다 기사 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1&aid=0002315078 스마트밴드와 스마트시계를 포함한 웨어러블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반면,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고 한다. 스마트폰의 경우 평균 사용주기가 그렇게 길지 않기 때문에 언제나 호황을 이룰거라 생각했으나 추세가 바뀌고 있는 모양이다. 사실 그도 그럴것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다보면 늘 사용하는 기능만 사용하기 때문에 굳이 값비싼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단지 자기 만족에 그칠지도 모른다. 이를 결과로 보여주듯 중저가 스마트폰의 비중이 상..
리모컨만 누르면 자동주차부터 자동출차까지 기사 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7&aid=0001223818 자율주행에 이어 자동주차와 자동출차까지 해주는 기사가 나왔다. 자율주행 같은 경우 상용화가 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좀더 필요하지만, 자동주차는 기사에 나와 있듯이 바로 다음달부터 출시가 된다고 한다. 지금 당장은 자율주행을 바라지는 않아도 자동주차가 된다면 정말 좋을 것 같다. 주차를 잘하는 사람이 운전을 잘한다 라는 말처럼, 이 기술이 상용화가 된다면 운전이 더욱 쉬워질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기능을 이용하게 된다면, 주차장에서의 비매너 문제도 사라지겠지. 12개의 초음파 센서로 인해, 자동 주차..
[IT신상공개] 가끔은 MP3 말고 CD로 들어보지 않을래? 아이리버 IA1000 기사 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0&aid=0003127662 우리들의 학창시절을 함께한 아이리버에서 새로운 제품의 CD 플레이어를 출시했다고 한다. 요즘 집에서 CD로 음악을 듣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라고 생각이 드는 상황에서 아이리버가 새로운 발상을 했다. 사진을 보니 디자인은 정말 이쁘게 잘 나온것 같다. 사실 이동하면서 간편하게 음악을 들을 수는 없을테고, 실내에서 사용해야할 것이다. 단순히 음악을 듣는 용도라기보다는 인테리어와 집안 분위기를 위해 구매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기사에서 "음악 즐기려면 ..
"5G 기술 직접 보겠다”… 글로벌 IT거물들 평창 집결 기사 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9&aid=0002447822 올림픽이라는 것이 각국의 선수들이 한자리에 모여 그동안 갈고닦은 실력을 빛내는 자리일 뿐 아니라, 글로벌 기업들의 홍보의 장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삼성전자, LG, 현대차 그룹 등의 국내 기업을 비롯하여 인텔, 알리바바, 노키아 등 해외기업들까지 주요 인사들이 참석을 한다고 한다. 올림픽에서의 마케팅 효과로 인해 앞다투어 후원을 해왔기 때문일 것이다. 5G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드론, 가상현실(VR), UHD 비디오 기술 등 세계 각국 글로벌..
네이버 AI 영토 확장..LG U+이어 샤오미 IoT기기에도 적용 기사 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8&aid=0004028902 위 기사를 보면 네이버의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가 샤오미 IOT까지 확장되었다고 한다. 날이 갈수록 인공지능(AI) 분야의 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 기술 또한 나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진다. 예전 구글의 알파고와 이세돌의 경기가 인공지능 분야의 이슈화에 대해 큰 역할을 했던 것 같다. 이런 인공지능에 관련된 기사를 접할때마다 지금 몸담고 있는 IT분야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AI 분야의 학습이 필수적으로 느껴진다. 대학교 시절 전공선택으로 인공지능..
노화시계 ‘텔로미어`를 잡아라 기사 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9&aid=0004096532 오래 산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의 염원이다. 수명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는 것을 발견했다는 것 자체가 큰 업적이라고 생각한다. DNA 끝부분에 존재하는 텔로미어라는 것을 단순히 길게 한다고 해서 수명이 늘어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기사 마지막에 언급 했듯이 암세포를 치료하기 위해 텔로미어를 짧게 만들기도 한다고 한다. 암세포도 증식하지 못하게 하면서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지금까지 정말 많은 것들을 연구해 왔고 중요한 사실들을 발견해 온 것처럼, 지금까지 그래왔듯 좋은 방향으로 과학이 발전하리..
자율주행차간 협력운행 세계 첫 시연…5G 통신기술 이용(종합) 기사 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9861281 ***K-City :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세계 최대 수준의 자율주행 시험장 위 기사는 자율주행차가 5G와 연동하여 자율주행 시험에 성공했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자율주행이라는 것은 생각만해도 정말 편리한 기술일 것이다. 2019년에 실제 고속도로에 적용을 할 계획이라고 한다. 빠른 시일 내에 상용화가 된다면 정말 좋겠지만.. 실제로 이렇게 빠른 시일 내에 상용화를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 든다. 먼저 보안의 문제이다. 5G 통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이 이루어지므로 해킹 시도가 이루..